[나도원의 '대중음악을 보다'] 나윤선과 휘루 (上)
[Voyage]의 심플한 편성은 이와 관련 있다. 오로지 단조로운 어쿠스틱 베이스만이 보조하는 Calypso Blues 등 여러 곡들은 비워서 자리를 마련하고, 여백의 밑바닥을 따라 나윤선의 낮은 울림이 조용히 물을 채워간다. 이러한 편성은 나윤선을 부각시키는 슬기이자 오래된 음악기법이다. 물론 Please, Don't Be Sad는 풍성한 연주를 품었으며, 울프 바케니우스의 기타와 유니즌 경연을 펼치는 Frevo는 나윤선의 노래마저 악기로 수렴하는 기악곡에 가깝다. 그러나 기량을 뽐내는 전횡은 미뤄지고, 가락과 장단이 겸손하게 섞여든다. [Voyage]는 특수한 기법으로 보편적인 정서를 담아냈으며, 음악성과 대중성, 동과 서, 작곡가와 싱어, 연주와 목소리가 결합하는 괜찮은 방식을 제시했다. 섣불리, 그리고 솔직히 말해도 된다면, 이러한 조화는 나윤선이 여성이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기사 읽기 - 프레시안
Friday, November 28, 2008
Wednesday, November 26, 2008
MB정부의 진짜 목적은 다주택자 확대다
[종부세, 대안을 논하자] 다주택 인정, 임대소득세 부과가 전제돼야
그러나 매우 중요한 사실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는 여유주택을 임대하여 수입을 올리게 되면 임대소득세를 꼬박꼬박 내야 한다. 등록해야 되는 것은 물론이다. 임대료도 함부로 올릴 수 없다. 임대료가 급격히 오를 때는 인상 상한선을 정해 규제하기도 한다. 정부의 융자나 지원을 받아서 여유주택을 마련할 경우는 임대료 자체를 정부 기준에 맞춰야 할 수도 있다.기사 읽기 @ 프레시안
그러나 매우 중요한 사실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는 여유주택을 임대하여 수입을 올리게 되면 임대소득세를 꼬박꼬박 내야 한다. 등록해야 되는 것은 물론이다. 임대료도 함부로 올릴 수 없다. 임대료가 급격히 오를 때는 인상 상한선을 정해 규제하기도 한다. 정부의 융자나 지원을 받아서 여유주택을 마련할 경우는 임대료 자체를 정부 기준에 맞춰야 할 수도 있다.기사 읽기 @ 프레시안
Friday, November 21, 2008
Head of Teachers’ Union Offers to Talk on Tenure and Merit Pay - NYTimes.com
Randi Weingarten, president of the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 said Monday that given the economic crisis, her union would be willing to discuss new approaches to issues like teacher tenure and merit pay.
Ms. Weingarten, who was elected president of the national union in July and continues as president of its New York City local, the United Federation of Teachers, spoke in detail about three issues that have often led critics to portray teachers’ unions as obstacles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 achievement: seniority and other contract provisions that have tended to assign rookie teachers to poor schools with the neediest students, many union locals’ opposition to merit pay, and tenure rules that have made it hard to remove incompetent teachers.
On teacher assignments, she pointed to new contract rules the union negotiated with New York City that no longer require principals to accept teachers, or teachers to take jobs, in schools that are not a good fit for them. Ms. Weingarten said she was working with civil rights and other groups to develop similar approaches that could work elsewhere in the nation.
On merit pay, she pointed to a system she negotiated in New York that allows all teachers in a participating school to receive extra pay when that school excels. She said her union was willing to discuss adopting similar plans elsewhere.
On tenure, Ms. Weingarten recommended increased use of peer review, in which veteran teachers mentor less effective colleagues and even, she said, “counsel unsuccessful colleagues out of the profession.” Peer review has been used in Toledo, Ohio, and other communities for many years, and she said she hoped to “put it to work in many more.”
Read the article @ NYTimes.com
Ms. Weingarten, who was elected president of the national union in July and continues as president of its New York City local, the United Federation of Teachers, spoke in detail about three issues that have often led critics to portray teachers’ unions as obstacles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 achievement: seniority and other contract provisions that have tended to assign rookie teachers to poor schools with the neediest students, many union locals’ opposition to merit pay, and tenure rules that have made it hard to remove incompetent teachers.
On teacher assignments, she pointed to new contract rules the union negotiated with New York City that no longer require principals to accept teachers, or teachers to take jobs, in schools that are not a good fit for them. Ms. Weingarten said she was working with civil rights and other groups to develop similar approaches that could work elsewhere in the nation.
On merit pay, she pointed to a system she negotiated in New York that allows all teachers in a participating school to receive extra pay when that school excels. She said her union was willing to discuss adopting similar plans elsewhere.
On tenure, Ms. Weingarten recommended increased use of peer review, in which veteran teachers mentor less effective colleagues and even, she said, “counsel unsuccessful colleagues out of the profession.” Peer review has been used in Toledo, Ohio, and other communities for many years, and she said she hoped to “put it to work in many more.”
Read the article @ NYTimes.com
Thursday, November 20, 2008
Firms Seek Delay in Payments to Pension Funds - NYTimes.com
Stung by outsize investment losses, some of the nation’s biggest companies are pushing Congress to roll back rules requiring them to put more money into their pension funds, just two years after President Bush signed a law meant to strengthen the pension system.
The Pension Protection Act of 2006 was enacted in response to a string of big corporate bankruptcies and pension failures at the beginning of this decade. Federal law requires companies to put money into their pension plans on a regular schedule, but the bankruptcies revealed gaping loopholes that were allowing companies to go for years without adding money. The 2006 amendments were intended to close some of the loopholes and make the pension system less risky. Until this year’s market disaster, most company pension funds had been making great gains.
The Pension Rights Center, an advocacy group in Washington, said the financial crisis had clearly shown that defined-benefit pensions were superior to 401(k) plans, which make participants bear all the market risk. The center said it would make sense to encourage companies to keep offering pensions by giving them a break on their contributions — but only if they agreed not to freeze their plans. In a pension freeze, employees keep the benefits they have earned, but stop building up new benefits with additional years of work. Even a frozen pension fund still needs contributions, albeit smaller ones, and the companies seeking relief include those with both frozen and active plans.
Read the article @ NYTimes.com
The Pension Protection Act of 2006 was enacted in response to a string of big corporate bankruptcies and pension failures at the beginning of this decade. Federal law requires companies to put money into their pension plans on a regular schedule, but the bankruptcies revealed gaping loopholes that were allowing companies to go for years without adding money. The 2006 amendments were intended to close some of the loopholes and make the pension system less risky. Until this year’s market disaster, most company pension funds had been making great gains.
The Pension Rights Center, an advocacy group in Washington, said the financial crisis had clearly shown that defined-benefit pensions were superior to 401(k) plans, which make participants bear all the market risk. The center said it would make sense to encourage companies to keep offering pensions by giving them a break on their contributions — but only if they agreed not to freeze their plans. In a pension freeze, employees keep the benefits they have earned, but stop building up new benefits with additional years of work. Even a frozen pension fund still needs contributions, albeit smaller ones, and the companies seeking relief include those with both frozen and active plans.
Read the article @ NYTimes.com
11월 20일 공교로운 날
오늘, 11월 20일은 참으로 공교로운 날이다. '공교(工巧)롭다'는 것은 뜻하지 않은 사실이나 사건, 인물이 우연히 마주치게 된 것이 기이하다고 할 만하다는 뜻이다. 오늘, 11월 20일은 실로 공교로운 날이고, 그 모든 '공교로움'은 국가보안법과 연관되어 있다.
우선 그 열쇠가 되는 국가보안법은 1948년의 오늘, 11월 20일에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60년이 된 것이다. 1948년 8월 15일에 정부가 수립되고 나서, 거의 동시적으로 이 법이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해 9월 29일에 '내란행위특별조치법안'이 국회 본회의에 제출되어 여야간에 뜨거운 공방이 벌어졌다. 이 법의 이름은 곧 '국가보안법'으로 바뀌었다. 60년 전, 그해 가을의 논쟁점 역시 '공산주의의 정의와 처벌 규정이 매우 모호해 정권이 정적을 제거하는 데 악용할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이는 실로 60년의 역사를 가진 현대사의 핵심이다.
몇 가지 공교로운 일들을 적는다면, 우선 오늘 11월 20일은 시인 박노해(본명 박기평)가 전남 함평에서 태어난 날이다. 그는 사제를 꿈꾸던 청년이었고 공단의 노동자였고 그 삶의 참다운 해방을 위해 시를 쓰고 또한 실천운동을 한 활동가였으며 지금은 '나눔문화'를 통하여 낮은 곳의 진정한 위로와 평화의 확산을 꿈꾸는 활동을 하고 있다.
또 한 사람, 기억해야 될 중요한 인물이 있다. 1937년의 오늘, 11월 20일에 경남 진주에서 태어난 전 서울대 사회학과의 김진균 선생이다. 김진균 선생은 진주고교를 마치고 1961년에 서울대 사회학과를 마쳤으며 이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거친 후 1968년부터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하여 평생 동안 서울대에서 교편을 잡아 왔다. 그는 1980년에 총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정권에 의하여 강제 해직을 당한 바 있다. 이에 김진균 선생은 1982년부터 서울 상도동의 창고 건물에 개인연구실인 ‘상도연구실’을 열었는데, 이 작은 공간이 80년대 진보적 학술운동의 진원지가 되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김진균 선생의 진보적 학술 연구와 그 실천 활동은 결코 쉽지 않은 결단의 연속이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오늘 11월 20일은 최근에 배우 문근영씨의 남다른 활동을 '‘빨치산 선전용’이니 ‘좌익세력의 영웅 만들기’라고 힐난했던 지만원씨가 1942년에 강원도 횡성에서 태어난 날이기도 하다.
정윤수의 BOOK...ing 365에서 글 보기
우선 그 열쇠가 되는 국가보안법은 1948년의 오늘, 11월 20일에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60년이 된 것이다. 1948년 8월 15일에 정부가 수립되고 나서, 거의 동시적으로 이 법이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해 9월 29일에 '내란행위특별조치법안'이 국회 본회의에 제출되어 여야간에 뜨거운 공방이 벌어졌다. 이 법의 이름은 곧 '국가보안법'으로 바뀌었다. 60년 전, 그해 가을의 논쟁점 역시 '공산주의의 정의와 처벌 규정이 매우 모호해 정권이 정적을 제거하는 데 악용할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이는 실로 60년의 역사를 가진 현대사의 핵심이다.
몇 가지 공교로운 일들을 적는다면, 우선 오늘 11월 20일은 시인 박노해(본명 박기평)가 전남 함평에서 태어난 날이다. 그는 사제를 꿈꾸던 청년이었고 공단의 노동자였고 그 삶의 참다운 해방을 위해 시를 쓰고 또한 실천운동을 한 활동가였으며 지금은 '나눔문화'를 통하여 낮은 곳의 진정한 위로와 평화의 확산을 꿈꾸는 활동을 하고 있다.
또 한 사람, 기억해야 될 중요한 인물이 있다. 1937년의 오늘, 11월 20일에 경남 진주에서 태어난 전 서울대 사회학과의 김진균 선생이다. 김진균 선생은 진주고교를 마치고 1961년에 서울대 사회학과를 마쳤으며 이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거친 후 1968년부터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하여 평생 동안 서울대에서 교편을 잡아 왔다. 그는 1980년에 총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정권에 의하여 강제 해직을 당한 바 있다. 이에 김진균 선생은 1982년부터 서울 상도동의 창고 건물에 개인연구실인 ‘상도연구실’을 열었는데, 이 작은 공간이 80년대 진보적 학술운동의 진원지가 되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김진균 선생의 진보적 학술 연구와 그 실천 활동은 결코 쉽지 않은 결단의 연속이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오늘 11월 20일은 최근에 배우 문근영씨의 남다른 활동을 '‘빨치산 선전용’이니 ‘좌익세력의 영웅 만들기’라고 힐난했던 지만원씨가 1942년에 강원도 횡성에서 태어난 날이기도 하다.
정윤수의 BOOK...ing 365에서 글 보기
Saturday, November 15, 2008
FT.com / In depth - Into the storm
After the sudden end to a credit boom coincided with last year’s surge in commodity prices, the outlook for the world’s richest countries has not been worse in generations. Oil may again be cheaper but banks are in trauma. G20 leaders gathering in Washington know that big risks remain. Use the hyperlinks below to explore this FT guide to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daunting, near-global recession that is taking hold.
Read @ FT.com
Read @ FT.com
Tuesday, November 11, 2008
바람의 화원 (2008) 신윤복 - 조선시대 해방된 여성?
신윤복은 타의에 의해 '남장여자'가 된 캐릭터이니, 조작된 남성성에 의해 여성성이 억압되어 있었고 그것이 나중에 해방된다는 일반논리는 그럴싸해보이지요.
하지만 과연 그게 그렇게 단순합니까? 일단 드라마 신윤복이 과연 억압된 사람처럼 보입니까? 암만 봐도 이 캐릭터는 감추는 게 없습니다. 윤복의 허세 떠는 성격이나 바람둥이와 같은 태도는 그 사람의 원래 개성입니다. 자신의 여성적인 본성은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거의 여과 없이 터져 나오고 있고요. 물론 남장이라는 설정에 따른 스트레스는 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복은 이 드라마에 나오는 사람들 중 정신적으로 가장 건강하고 자유로운 사람입니다. 오히려 부당할 정도로 건강하지요. 정조시대 사회적 규칙을 멋대로 위반하면서 그런 자유를 얻었으니까요.
게다가 이 작품에서 [미인도]로 대표되는 조선시대의 여성성이 과연 건강한 것입니까? 조선 시대의 평범한 여인네들에게 강요된 '여성성'은 사회적 편견의 산물이었고 결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신윤복이 당연하다는 것처럼 누렸던 자유는 거의 누리지 못했습니다. (드라마에서 신윤복이 직접 언급하지만) 그들은 새장 속의 새였습니다. 정향과 같은 기생들은 보통 평범한 여인네들에 비해 어느 정도 행동의 자유가 있었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었죠. 그렇다면 과연 그 규격화된 여성성은 신윤복이 도달해야 할 지향점이 되어야 할까요? 그건 오히려 모든 면에서 퇴행일 것입니다.
비전형적인 성격이 매력적인 캐릭터가 '성숙'이라는 핑계를 대며 사회적 규칙에 복종하면서 원래의 개성을 잃어버리고 평범한 어른이 되어가는 이야기들이 너무 많습니다. 왜 멀쩡하고 자유롭고 매력적인 캐릭터를 작정하고 죽이려는 건지 이해가 안 돼요. [바람의 화원]에서는 제발 그러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원작에서도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잖아요. 전 신윤복(또는 김홍도)=샤라쿠 아이디어는 괜한 콤플렉스의 반영 같아서 별로 맘에 들지 않지만 그게 차라리 낫습니다. 지금 신윤복은 어디로든 갈 수 있고 자신을 마음대로 재정의할 수 있는 입장에 서 있습니다. 그 위치를 정말 버려야 할까요?
긴 글 읽기 @ Djuna 글방
하지만 과연 그게 그렇게 단순합니까? 일단 드라마 신윤복이 과연 억압된 사람처럼 보입니까? 암만 봐도 이 캐릭터는 감추는 게 없습니다. 윤복의 허세 떠는 성격이나 바람둥이와 같은 태도는 그 사람의 원래 개성입니다. 자신의 여성적인 본성은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거의 여과 없이 터져 나오고 있고요. 물론 남장이라는 설정에 따른 스트레스는 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복은 이 드라마에 나오는 사람들 중 정신적으로 가장 건강하고 자유로운 사람입니다. 오히려 부당할 정도로 건강하지요. 정조시대 사회적 규칙을 멋대로 위반하면서 그런 자유를 얻었으니까요.
게다가 이 작품에서 [미인도]로 대표되는 조선시대의 여성성이 과연 건강한 것입니까? 조선 시대의 평범한 여인네들에게 강요된 '여성성'은 사회적 편견의 산물이었고 결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신윤복이 당연하다는 것처럼 누렸던 자유는 거의 누리지 못했습니다. (드라마에서 신윤복이 직접 언급하지만) 그들은 새장 속의 새였습니다. 정향과 같은 기생들은 보통 평범한 여인네들에 비해 어느 정도 행동의 자유가 있었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었죠. 그렇다면 과연 그 규격화된 여성성은 신윤복이 도달해야 할 지향점이 되어야 할까요? 그건 오히려 모든 면에서 퇴행일 것입니다.
비전형적인 성격이 매력적인 캐릭터가 '성숙'이라는 핑계를 대며 사회적 규칙에 복종하면서 원래의 개성을 잃어버리고 평범한 어른이 되어가는 이야기들이 너무 많습니다. 왜 멀쩡하고 자유롭고 매력적인 캐릭터를 작정하고 죽이려는 건지 이해가 안 돼요. [바람의 화원]에서는 제발 그러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원작에서도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잖아요. 전 신윤복(또는 김홍도)=샤라쿠 아이디어는 괜한 콤플렉스의 반영 같아서 별로 맘에 들지 않지만 그게 차라리 낫습니다. 지금 신윤복은 어디로든 갈 수 있고 자신을 마음대로 재정의할 수 있는 입장에 서 있습니다. 그 위치를 정말 버려야 할까요?
긴 글 읽기 @ Djuna 글방
Wednesday, November 05, 2008
Tuesday, November 04, 2008
George Orwell: Politics and the English Language
Most people who bother with the matter at all would admit that the English language is in a bad way, but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we cannot by conscious action do anything about it. Our civilization is decadent and our language — so the argument runs — must inevitably share in the general collapse. It follows that any struggle against the abuse of language is a sentimental archaism, like preferring candles to electric light or hansom cabs to aeroplanes. Underneath this lies the half-conscious belief that language is a natural growth and not an instrument which we shape for our own purposes.
Read the article
Read the article
Subscribe to:
Posts (Atom)